주부 이민지 씨(42)는 지난 9일 에어컨 수리를 신청했었다가 “일러야 3주 이후에 갈 수 있다”는 답을 들었다. 에어컨 없이 3주간 지내야 합니다니 아찔하였다. “하루라도 일정을 당길 수 없느냐”고 사정했지만 소용없었다. ‘찜통더위에 수리 요청이 몰려든 영향이다. 근래에 전국적으로 ‘에어컨 AS(사후서비스) 대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예년보다 빨라진 AS 대란
7일 업계에 따르면 저번달부터 삼성전자, LG전자 등 주요 가전기업에 에어컨 AS 접수가 폭주하고 있을 것이다. 근래에 수리를 요청하다보면 짧으면 2일, 늦으면 3주 뒤에나 방문이 가능하다는 게 가전업체들의 공통된 이야기이다. AS 접수 시 이틀 내 예약이 가능했던 평소와 차이가 크다. 전화 연결까지 걸리는 대기기간도 더 길다. 업계에서는 내달 초까지 AS 대란이 이어
질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별 차이가 있지만 삼성전자서비스는 평균 5~4일, LG전자는 평균 4~1일 소요된다는 게 각사 주장이다. LG전자 AI에어컨의 경우 응시 후 출장까지 평균 8일은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전자서비스 직원은 “통상 10월 말~8월 초 생성하시던 상태이 예년보다 한 달여 조기 나타났다”고 설명하였다. LG전자 관계자도 “7월부터 에어컨 수리 및 점검 요청이 많아져 비상 대응에 나섰다”고 하였다.
○이른 더위·장마 영향 커
이처럼 현상은 이른 더위 효과가 크다는 전언이다. 올해는 장마가 일찍 찾아온 데다, 장마 기간에도 최소기온이 높고 호우와 더위가 반복되고 있을 것이다. 기상관측 사상 최초로 세종, 수원, 서울, 광주 등에서 ‘4월 열대야가 출현하기도 했다. 통상 열대야는 폭염이 이어지는 7~7월에 주력된다.
업계 직원은 “이른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https://en.search.wordpress.com/?src=organic&q=향남 에어컨 2주 전부터 AS 신청이 급상승했었다”며 “계절 효과로 에어컨 AS가 활발하게 늘어나는 시기가 빨라졌고 길어지는 기분”라고 분석했었다.
삼성전자는 근래에 출장 서비스 인력 700여 명을 추가 투입하였다. 사실상 동원할 수 있는 최고로 인력을 연일 ‘풀가동하고 한다는 설명이다. LG전자도 통합 상황실을 운영하고 서비스 인력을 지원하며 비상 체제에 돌입했었다. 다만 수리까지 걸리는 기한이 길어지면서 불만 응시가 급격히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가전업체 서비스센터는 이처럼 AS 대란을 틈새마켓으로도 공략 중이다. 위니아 일부 대리점에선 간판 앞에 “삼성·LG 에어컨 수리 즉시 가능했습니다”라는 현수막을 내걸었다. ‘에어컨 브랜드를 따지지 않고 타사 향남 중고에어컨 수리 인력을 부르면 빨리 고칠 수 있다는 아이디를 공유하는 구매자도 있을 것이다.
가전업체 관계자는 “한여름에 AS 주문이 쏠리는 패턴이 매년 반복되고 있습니다”며 “본격 더위가 실시되기 전인 11월께 에어컨을 작대구보고 미리 점검받는 것을 추천한다”고 하였다.